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“내 연봉이 실제 월급으로는 얼마일까?” 궁금해합니다.
    특히 세전 연봉 3,300만 원의 경우, 공제 후 실수령액이 얼마나 되는지 체감 차이가 크기 때문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.
   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연봉 3300 실수령액을 계산하고, 공제 세부 항목과 비슷한 연봉대와의 비교까지 정리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연봉 3300 실수령액 계산 기준

     

    • 연봉: 33,000,000원
    • 월 환산 세전 급여: 약 2,750,000원
    • 조건: 부양가족 1명, 비과세 소득 없음, 2025년 4대 보험·세율 적용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 연봉 3300 실수령액 계산표

     

     

    📌 계산 방식 A

     

    • 월 실수령액: 약 2,451,470원
    • 총 공제액: 298,530원
    • 국민연금: 119,250원
    • 건강보험: 82,680원
    • 장기 요양: 6,100원
    • 고용보험: 17,220원
    • 소득세: 66,620원
    • 지방 소득세: 6,660원

    📌 계산 방식 B

     

    • 월 실수령액: 약 2,433,896원
    • 총 공제액: 316,103원
    • 국민연금: 123,750원
    • 건강보험: 97,350원
    • 장기 요양: 12,470원
    • 고용보험: 24,749원
    • 소득세: 52,530원
    • 지방 소득세: 5,253원

     

    👉 계산 방식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, 실제 실수령액은 월 약 243만~245만 원 수준으로 확인됩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공제 항목별 내역

     

    ① 4대 보험

     

    • 국민연금: 월급의 4.5% → 약 119,250원
    • 건강보험: 약 3.54% → 약 82,680원
    • 장기요양보험: 건강보험료의 12.95% → 약 6,100원
    • 고용보험: 약 0.9% → 약 17,220원

     

    ② 세금

     

    • 소득세: 약 5만~6만 원대 (간이세액표 기준)
    •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10%

     

     

    연봉대별 실수령액 비교

     

    연봉

    세전 월급

    예상 실수령액

    3,200만 원 약 2,667,000원 약 238만 원
    3,300만 원 약 2,750,000원 약 244만 원
    3,400만 원 약 2,833,000원 약 249만 원

     

    👉 연봉이 100만 원 오를 때마다 실수령액은 약 5만 원 정도 증가하는 흐름을 보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실수령액이 달라지는 주요 원인

     

    • 부양가족 수 – 공제 대상이 많을수록 세금이 줄어듭니다.
    • 비과세 소득 여부 – 식대·차량 유지비 등이 포함되면 세후 금액이 늘어납니다.
    • 보험료율 변동 – 매년 4대 보험료율이 조정되므로 과거 자료와 다를 수 있습니다.
    • 연말정산 환급 – 월급에는 반영되지 않지만, 환급액에 따라 연간 총수령액이 달라집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내 급여 직접 계산하기

     

    실수령액을 더 정확히 확인하고 싶다면 온라인 연봉 계산기를 활용하세요.

    • 사람인 연봉계산기
    • 잡코리아 연봉계산기

    👉 계산 시 반드시 부양가족 수, 비과세 금액을 입력해야 실제와 비슷한 결과가 나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자주 묻는 질문 (FAQ)

     

    Q1. 연봉 3300인데 제 월급은 더 적게 들어옵니다. 왜 그런가요?
    → 회사에서 복지공제, 노조비, 사내 보험료 등이 추가로 빠질 수 있습니다.

    Q2. 연말정산 환급은 월급에 포함되나요?
    → 매달 실수령액에는 반영되지 않지만, 연간 총수령액은 환급분만큼 늘어납니다.

    Q3. 부양가족이 늘어나면 실수령액은 얼마나 달라지나요?
    → 소득세 부담이 줄어 월 수 만 원 이상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📌 핵심 요약

     

    • 연봉 3,300만 원 실수령액: 월 약 243만~245만 원
    • 공제 항목: 국민연금, 건강보험, 장기요양, 고용보험, 소득세, 지방소득세
    • 부양가족, 비과세 소득, 보험료율에 따라 개인별 차이가 발생
    • 온라인 계산기로 맞춤 확인 가능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